기사상세페이지

[오늘의 눈] 사과와 용서 그리고 화해

기사입력 2009.06.05 08:41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특별기고

    [오늘의 눈] 사과와 용서 그리고 화해

       
            ▲ 장형우 서울신문기자
      사과 없는 용서 없고, 용서 없는 화해 없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인종차별의 역사를 바로잡기 위해 1996년 투투 주교가 이끄는 ‘진실과 화합위원회’를 출범시켰다.
    2년 6개월 동안의 활동으로 감춰졌던 수많은 인종차별 피해자들을 찾아냈고, 그 결과 3500쪽에 이르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하지만 진실과 화합위원회가 ‘반쪽의 성공’으로 평가받는 이유는 뭘까.
    반인륜적 차별의 수난을 겪었던 흑인들은 새로운 미래를 위해 용서와 화해의 준비를 하고 있었다. 하지만 자신의 잘못을 반성하고 사과하는 백인은 없었다. 그래서 화합은 이루지 못한 채 진실만 밝혀냈다는 아쉬움을 남겼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 소식을 듣고 조문과 취재를 겸해 내려간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서 기자들은 수난을 당하고 있었다. 노사모뿐만 아니라 빈소를 찾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언론이 노 전 대통령을 죽였다.”고 입을 모았다.

    틀린 말이 아니었다. 정권이 바뀐 지 1년만에 관례처럼 전 정권에 대한 강도높은 사정수사가 시작됐고, 언론사는 속보경쟁에 달려들었다. 검찰의 입에서 나온 말이면 다른 확인도 않은 채 그대로 기사를 써 내려갔다. 언론은 검찰의 피의사실 공표를 부추겼고, 검찰은 못 이긴 척 혐의를 흘려줬다. 뿐만 아니라 언론은 도덕성에도 상처를 주는 독한 말들을 내뿜어댔다. 힘을 잃은 세력을 마음껏 비난할 수 있다는 공식에 따랐다. 그래서 ‘정치적 타살’이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그런데 언론은 마치 자신들은 아무 잘못 없는 객관적 관찰자인 양 우리 사회 전체를 향해 화해와 통합을 해야 한다고 되레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화해는 용서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사과 없는 용서는 있을 수 없다. 따라서 화해와 통합의 첫걸음은 가해자의 진정한 사과일 수밖에 없다. 이것이 언론이 누군가에게 화해와 통합을 당부하기에 앞서 진심어린 사과를 해야 할 이유다.

    ‘노 전 대통령님 죄송합니다. 저질 언론 없는 곳에서 편히 쉬십시오.’
    <사람사는 세상 봉하마을 제공>

    새감각 바른언론-완도청해진 www.wandonews.kr
    입력20090601-08

    backward top home